재테크 / / 2022. 8. 31. 10:35

연금저축과 국민연금으로 은퇴자금 모으기(feat. 연금저축 가입, 저축 월 5만원시작)

반응형

은퇴라는 단어가 아직은 먼 이야기처럼 느껴질 수도 있고 가까운 미래의 일이라 지금부터 준비가 필요하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주변 지인들을 살펴보면 은퇴 준비를 20대부터 종잣돈 모으기를 시작하여 30~40대가 되어 어느 정도 자리를 잡은 케이스도 있고 30대 혹은 40대부터 은퇴준비를 시작하는 분들도 있습니다.

여유가 있어서 좀 더 일찍 은퇴 준비를 시작할 수도 있고 조금 늦을 수 있겠지만 지금 은퇴를 위한 종잣돈이 없다고 하더라도 두려워할 필요는 없을 것 같아요. 50대에 시작하더라도 60대에 시작하더라도 준비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100세 시대는 현실

최근 선진국의 기대수명은 80대 중반이며, 2007년에 태어난 선진국 아이들은 104세 이상 살 가능성이 50% 이상 된다는 자료를 본 적이 있습니다. 이를 통해 살펴보면 90년대 중후반 생은 100~102세, 80년대 중후반 생은 98~100세, 70년 중후반 생은 95~98세, 60년 중후반 생은 92~96세, 50년대 중후 반생은 85~89세까지 50% 이상 살게 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평균 은퇴 나이 57세

몇 년 전 자료이긴 하지만 삼성생명 은퇴연구소 자료(2018년)에 따르면 우리나라 평균 은퇴 나이는 57세라고 합니다.

약 4년이라는 시간이 지났으므로 이전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출생 연도 별 기대수명과 비교할 때 30~40년의 은퇴 후 생활을 하게 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은퇴 자금은 얼마나 필요할까?

국민연금(2020년)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노후에 필요한 월 생활비는 아래와 같습니다.

 

최소 생활비

  • 1인인 경우 기준 : 117만원
  • 부부일 경우 기준 : 195만원

적정 생활비

  • 1인인 경우 기준 : 165만원
  • 부부일 경우 기준 : 268만원

70년대 중후반 출생자가 57세에 은퇴하여  97세까지 살게 될 경우 최소 생활비는 1인 기준 약 5억 6천만 원, 부부 기준 : 약 9억 3천만 원이 필요합니다.

 

국민 연금 수령액

국민연금(2021년)에서 발표 자료 기준으로 평균 연금 수급액은 월 55만원이라고 합니다. 이 금액은 평균 금액으로 직장 또는 개인사업으로 연금을 납부한 기간과 금액에 따라 개인별 차이가 있는 점 참고하시면 될 것 같네요.

국민연금을 제대로 된 연금으로 사용하려면 보통 20년 이상 가입이 필요하다고 합니다. 20년 이상 가입자의 연금액은 약 94만 원 정도이며 30년 이상 연금 가입자는 약136만원 정도 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

 

은퇴 자금 준비할 수 있을까?(feat. 국민 연금+연금저축)

개인별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은퇴 자금은 준비가 가능하다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은퇴 자금을 준비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다른 재테크를 재외하고 국민 연금과 연금저축을 통해 준비하는 방법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

  • 27세 기준으로 매달 30~35만원 정도 금액을 연금저축을 할 경우 30년 후에는 3억 중반(연간 7% 수익 계산)의 목돈을 만들 수 있습니다.
  • 조금 늦은 나이에 시작을 하더라도 국민 연금을 20년 이상 납부하면서 연금저축을 해나간다면 충분히 행복한 은퇴를 준비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은퇴준비가 어려운 상황이라면?

여러 사정으로 제시한 기준금액의 저축이나 국민연금을 유지하는 것이 어렵다면 최소 5만원의 소액이라도 저축하는 방법을 만들어 나가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개인적으로 어려운 시기도 있었지만 포기하지 않고 준비하다 보면 반드시 기회가 오기 때문에 건강관리를 하면서 최소한의 은퇴자금 또는 종잣돈을 만들어 나가고 기회가 있을 때 좀 더 준비하는 방법으로 실행해 나간다면 분명히 좋은 기회가 올 것입니다.

 

 

이 글에 방문해 주신 모든 분들께 행복한 노후가 함께 하기를 기도하겠습니다.

제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댓글과 공감 부탁드릴게요.

 

감사합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