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의 블로그
  • 홈
  • 태그
  • 방명록
  • 메뉴 닫기
  • 글작성
  • 방명록
  • 환경설정
    • 분류 전체보기
      • 여행
      • 맛집
      • 제품정보(상품홍보)
      • 정보공유
      • 건강
      • 제품리뷰(생활정보)
      • 재테크
      • 연예계 이야기
      • 제품리뷰(패션뷰티)
      • 웨딩
      • 재택근무
      • 요리
  • 홈
  • 태그
  • 방명록
재테크

파월 빅스텝, 금리 인상과 대출금은?

이번 달(23년 3월) 21~22일에 열리는 FOMC(연방공개시장위원회)에서 금리가 인상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파월 의장은 3월 7일 미 상원 은행위원회에서 '더 빠른 긴축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금리인상 속도를 높일 수 있다'라고 발언하였는데요. 계속되는 인플레이션에 우려하고 있고 이를 위해 공격적인 금리 인상이 해법이라고 생각하는 듯합니다. 미국 금리인상이 중요한 이유 미국의 금리 인상은 돈을 빌리는 개인, 기업 등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금리가 오르면 개인과 기업이 돈을 빌리는 것은 이전보다 비교적 많은 이자를 내야 하므로 시장에 풀리는 돈의 양을 줄어들고 경제 성장에 영향을 줍니다. 산업 전반의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줄어 가격이 낮아지는 영향이 있지만 이를 통해 인플레이션을 억제할 수 ..

2023. 3. 9. 08:26
재테크

코스피 2,000을 앞두고 투자를 한다면?(미국 국채, 리츠 투자 하기)

주식은 금리 인상 여부와 경제성장률 등의 영향에 따라 결정됩니다. 22년 9월 22(목) FOMC의 발표에 따르면 미국 기준금리는 0.75% p 인상하였으며, 3.25%가 되었습니다. FOMC의 2번의 남은 일정 이후에는 금리가 4% 대가 될 것으로 전망한다고 하며, 코스피도 2,000이 붕괴되는 시점이 올 수도 있다는 의견이 있습니다. 미 연준의 물가상승률 전망 미 연준에서는 내년도 물가상승률을 2~4%까지 낮아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앞으로도 기준금리 인상의 방향을 지금과 동일하게 유지할 것으로 보이는데요. 지난 9월 기자회견에서 파월 의장의 발언처럼(물가를 2%대를 유지하기 전까지 금리를 인하할 계획이 없다.) 물가를 잡기 위해 보다 강력한 정책을 펼칠 것으로 보입니다. 한국은행의 ..

2022. 10. 3. 12:04
재테크

인플레이션(inflation) 시대 살아가는 법(feat. 자신에게 투자하기)

우리는 앞으로 짧게는 몇 개월 길게는 수년 동안 인플레이션(inflation)을 경험하게 될 것입니다. 인플레이션(inflation)은 쉽게 말해 화폐가치의 하락으로 물가가 상승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인플레이션의 원인은? 인플레이션은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원인을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첫 번째 원인은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인데요. 기존의 수요량이 유지되거나 늘어나고 있는데 공급이 원활하지 않은 케이스를 말합니다. 두 번째 원인은 비용 측면입니다. 상품을 만드는 비용이 상승하게 되면 소비자가 구매하는 가격도 높아지는데요 이를 통해 관련된 제품의 물가가 오르게 되는 것을 말합니다. 인플레이션의 영향은? 시작은 어느 한 곳으로부터 오게 되지만 개인과 기업, 사회 전반의 경제의 악화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개..

2022. 9. 4. 23:41
재테크

연금저축과 국민연금으로 은퇴자금 모으기(feat. 연금저축 가입, 저축 월 5만원시작)

은퇴라는 단어가 아직은 먼 이야기처럼 느껴질 수도 있고 가까운 미래의 일이라 지금부터 준비가 필요하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주변 지인들을 살펴보면 은퇴 준비를 20대부터 종잣돈 모으기를 시작하여 30~40대가 되어 어느 정도 자리를 잡은 케이스도 있고 30대 혹은 40대부터 은퇴준비를 시작하는 분들도 있습니다. 여유가 있어서 좀 더 일찍 은퇴 준비를 시작할 수도 있고 조금 늦을 수 있겠지만 지금 은퇴를 위한 종잣돈이 없다고 하더라도 두려워할 필요는 없을 것 같아요. 50대에 시작하더라도 60대에 시작하더라도 준비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100세 시대는 현실 최근 선진국의 기대수명은 80대 중반이며, 2007년에 태어난 선진국 아이들은 104세 이상 살 가능성이 50% 이상 된다는 자료를 본..

2022. 8. 31. 10:35
  • «
  • 1
  • »
반응형
애드센스 광고 영역
Powered by Privatenote Copyright © J의 블로그 All rights reserved. TistoryWhaleSkin3.4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