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 / 2023. 3. 17. 21:39

중복가입 가능한 청년도약계좌 금리, 조건 알아보기

반응형

 

23년 6월에 출시 예정'청년도약계좌'에 대해 알고 계시나요?

'청년도약계좌'만 19~34세(군 복무기간 최대 6년까지 합산가능)소득 기준(중위 소득 180%) 충족할 경우 본인 납입금 외 정부의 지원금까지 추가로 저축할 수 있는 프로그램입니다. 

청년도약계좌 신청페이지

중위소득 계산방법은 아래 포스팅을 참고해 주세요.

 

23년 중위소득 계산방법, 중위소득별 혜택

오늘은 금융상품이나 정부지원을 받기 위해 자주 듣게 되는 중위소득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최근 본 자료에 의하면 중위소득은 77개 사회 복지 사업(12개 관계 부처)의 기준에 해당된다

junwan.tistory.com

청년도약계좌 금리와 혜택은?

  • 금리 : 청년도약계좌의 정확한 금리는 발표되지 않았습니다. 다만 목돈을 마련하기 위한 지원 프로그램이므로 최소 3%의 금리가 적용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 추가 지원금 : 이 프로그램에 참여하게 될 경우 정부 지원금(약 10~40만원)을 통해 본인이 저축하는 금액 외 추가 금액을 모을 수 있는 혜택이 제공됩니다.
  • 이 외에도 비과세와 소득공제 혜택을 부여할 것으로 보입니다.

 최대 저축금액과 소득 별 지원금은?

최대 저축금액

현재까지 알려진 것으로 볼 때 총 10년을 납입할 경우 최대 1억까지 모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5년 납입 시에는 약 5,000만원 정도가 되겠네요. 

 

소득금액 별 납입금액과 지원금

  • 연소득 2,400만원 이하
    • 월 30만원을 납부하게 될 경우 40만원의 납입금을 지원해 줌.
  • 연소득 3,600만원 이하
    • 월 50만원을 납부하게 될 경우 20만원의 납입금을 지원해 줌
  • 연소득 4,600만원 이하
    • 월 60만원을 납부하게 될 경우 10만원의 납입금을 지원해 줌
  • 연소득 4,600만원 초과~7,500만원 이하
    • 지원금액은 없으나 비과세와 소득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음.

 

다른 청년지원 프로그램에 가입 중이라면?(동시 가입 여부)

  • 동시가입 가능 : 청년(재직자)내일채움공제, 청년내일저축계좌
  • 동시가입 불 가능 : 청년희망적금(단, 중도해지 또는 만기 후에는 가입 가능)

 

지금까지 청년도약계좌 상품에 대한 안내와 중복가입 가능 조건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이번 프로그램의 금리는 약 3%대로 예상되지만 정부 지원금과 비과세, 소득공제 혜택 등을 고려할 때 약 6%의 금리의 적금을 가입하는 효과가 있는 것 같습니다. 이는 시중금리가 3~4%임을 감안할 때 5년 기준 4~500만원 정도 이 추가 수익이 발생할 수 있게 될 것 같네요.

 

자세한 사항은 금융위원회 안내페이지 또는 서민금융진흥원콜센터(1397)를 통해서 확인 부탁드리겠습니다.

6월 출시 전까지 업데이트 되는 내용이 있다면 다시 안내드리겠습니다.

 

제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부탁드릴게요.

감사합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